호스트웨이에서 서버호스팅을 받고 있는데,
일요일 저녁에 서버 장애가 났습니다.
이용자가 거의 없습니다만,
서버 장애로 인해 불편을 겪으셨다면 죄송하다는 말씀을 우선 드립니다.
아직 정확한 원인 파악이 되지는 않았지만,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장애로 판단됩니다.
jaehyun@newscast:~$ top
-bash: /usr/bin/top: Input/output error
jaehyun@newscast:~$ du
-bash: /usr/bin/du: Input/output error
거의 모든 리눅스 명령어에 위와 같은 IO에러가 발생합니다.
우선, 서버를 복구 해야 하는데..
이 시점에서 장기적인 서버 운영에 대한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됩니다.
1. 생각보다 서버호스팅이 책임져 주는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HDD물리적 고장인데도 불구하고,
서버호스팅 업체에서는 HDD교체 후, OS설치비를 요구할 듯 합니다.
저에게는 적은 금액이 아니라서 OS설치를 해야 하는지 고민입니다.
2. 최근 Google App Engine for JAVA에 Java web project 를 deploy해 보았는데,
생각보다 쓸만합니다. 구글이라 믿을 수도 있습니다.
불편한 점은, JDO, JPA와 같이 Java Persistence Layer를 제공하고,
MySQL등의 RDB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JDO, JPA는 좋은 개념이라고 생각은 되는데, 새로 배워야 한다는 부담과,,
아직 RDB모두를 포괄 할 만큼은 성장하지 않았다고 느껴집니다.
3. Google App Engine for JAVA를 사용하기에 또 다른 불편한점 한가지는
Ruby on Rails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Java도 익숙해서 큰 문제는 안됩니다만,
기존 개발된 repling, newscast 서비스가 Ruby on Rails로 개발되어 있습니다.
4. 왠지 믿음이가는 스마일서브 http://www.1000dedi.net 에서 풀 가상화 호스팅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이 서비스는 올해 초쯤 시작한듯 하더군요.
http://www.1000dedi.net/docs/renew/core_host/core_host02_01.htm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지금 이용하고 있는 호스트웨이보다 스마일서브가 믿음이 갑니다.
월 이용료도 더 저렴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이겠군요..
성능이 어느정도나 나올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한가지 걸리는 것은 해외 접속 트래픽을 제한을 한다는 것입니다. (왜 제한을 하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작은 서비스이긴 합니다만, 해외 접속도 생각하고 있기에, 이 내용이 조금 걸리긴 하네요.
이번 장애로서 백업의 중요성, 이중화의 필요성을 느끼네요.. (운영장비의 이중화는 비용이 문제.)
작게나마 서비스를 운영해 보면서.. 느끼는것이 많네요..
오래간만에 쓰는 글인데,
두서없이 주저리주저리~~
호스팅 관련하여 좋은 대안이 있으시면 추천해주세요.~~
그런적이 없어서 생각해보지 못햇었네요 ^^ㅋ
답글삭제지금 저도 서버에 있는 소스코드 몇개와 디비는 백업 안하고 있는데
방법을 찾아놔야 겟어요 ~~ (중요한 디비는 없지만요 ㅋ)
저야 가상서버를 쓰고있어서 OS 설치비용같은건 없겠지만
@nakada - 2009/06/15 01:44
답글삭제정말 백업이 중요한 듯.
나도 가상서버로 해야 할까봐.. 1000dedi.net으로~
웹서핑을 하다가 우연히 들어와보게 되었습니다.
답글삭제해외망을 제한하는 것은 국내망과 비교했을때 서비스 원가 차이가 생각보다 크다는데 있어서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제공자와 10M로 계약하면 해외망은 아주 작은 비율로 기본제공됩니다. 해외 Traffic이 10M가 되버리면 아마 트래픽계약을 다시 해야된다고 연락이 올거구요.
여기서 해외망을 아예 제공하지 않으면 그만큼이 순이익이 되는 것이죠.